Home Equipping Leaders Korean 종려주일 예배 설교 A Palm Sunday Sermon

종려주일 예배 설교 A Palm Sunday Sermon

By Kangwon Lee

버린 돌, 머릿돌 The Rejected Stone, the Cornerstone

시편 118:19~29 (Psalm 118:19-29)

종려주일은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기 위해 예루살렘에 입성하실 때, 제자들이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예수님은 메시아이시며 이스라엘의 왕이십니다.”라는 고백과 찬양으로 영접한 사건을 기념하는 날입니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종려주일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이 시작되는 날이기도 합니다. 당시 예루살렘은 예수님을 환영하는 열기로 가득했지만, 이 환영과 고난주간은 깊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과 부활에 참여하려면, 제자들처럼 주님을 향한 뜨거운 환영과 찬양이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Palm Sunday commemorates Jesus’ entry to Jerusalem. The disciples welcomed him with palm branches, praising and confessing, “Jesus is the Messiah and the king of Israel!” Ironically, Palm Sunday also marks the beginning of Jesus’ suffering on the cross. The atmosphere in Jerusalem on that day was filled with the excitement of welcoming Jesus, and while Palm Sunday may not seem to fit with Passion Week, it is deeply connected. To partake in Jesus’ suffering and resurrection, there must be a passionate welcome and praise for the Lord, just like the disciples expressed.

사람들은 올리브 나뭇가지를 땅에 깔고, 겉옷을 벗어 길에 펴며, 어린아이들은 나뭇가지를 들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을 향해 환호했습니다. 요한복음 12장 13절(시편 118편 26절 참조)에서는 “호산나! 주님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에게 복이 있기를! 이스라엘의 왕에게 복이 있기를!”이라는 찬양이 기록되어 있습니다. 이 장면을 상상해 보십시오. 예수님은 나귀를 타고 천천히 예루살렘으로 입성하셨습니다. 나귀는 평화를 상징합니다. 과거에 솔로몬왕도 다윗의 나귀를 타고 기혼으로 가서 기름 부음을 받은 후 예루살렘으로 들어갔습니다. 사람들은 많은 기적을 행하시고 하나님 나라를 선포하신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을 기쁨으로 맞이했습니다.

People laid olive branches and garments on the ground, and children waved branches as they joyfully welcomed Jesus into Jerusalem. In John 12:13 (referencing Psalm 118:26), it is recorded, “Hosanna! Blessed is he who comes in the name of the Lord! Blessed is the King of Israel!” Let us take a moment to imagine this scene where the Lord enters, riding a donkey. A donkey symbolizes peace. In the past, King Solomon also rode David’s donkey to Gihon to be anointed and then entered Jerusalem. The people joyfully welcomed Jesus, who had performed many miracles and proclaimed the kingdom of God, as he entered the city.

그러나 예수님의 입성은 단순한 행진이 아니었습니다. 당시 유대인의 명절 동안 로마는 순례자들의 반란을 방지하기 위해 가이사랴에서 예루살렘으로 군대를 파견하곤 했습니다. 로마 군대는 깃발과 기마병을 앞세워 위협적인 행렬을 이루며 반란의 기미가 보이면 모두 처단하겠다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그러나 예수님의 나귀 행렬은 로마 군대의 위풍당당한 행진과는 전혀 다른 모습이었습니다. 예수님의 입성은 외형적으로는 매우 초라해 보였습니다. 예수님은 나귀 새끼를 타고 안장 없이 입성하셨고, 제자들의 겉옷이 깔린 길을 걸었습니다. 그 모습은 전형적인 왕의 행렬과는 거리가 멀었습니다.

However, Jesus’ entry was not just a simple procession. During the Jewish festival season, the Romans would send an army from Caesarea to Jerusalem to prevent uprisings by the pilgrims. Roman soldiers, carrying flags and riding horses, marched ahead, signaling that any sign of rebellion would be crushed. In contrast, Jesus’ entry, slow and humble on a donkey, was strikingly different from the Roman army’s intimidating display. His entry was far from a royal procession. Jesus rode a young donkey with no saddle, and the disciples laid their cloaks on the ground in place of a carpet. It was a humble scene, far removed from the grandeur expected of a king’s march.

또한, 그날 유대교 지도자들은 이미 예수님을 죽이기로 한 상태였습니다. 모든 사람이 예수님을 환영한 것도 아니었습니다. 바리새인들은 예수님께 제자들을 책망하라고 요청했습니다. 종교적으로나 정치적으로 민감한 상황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예수님은 누가복음 19장 40절에서 “내가 너희에게 말하노니 만일 이 사람들이 침묵하면 돌들이 소리 지르리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이는 단순한 찬양에 대한 감정적 대응이 아니었습니다. 예수님은 이 믿음 없이는 다가올 십자가 고난을 통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아셨기 때문에 강하게 반응하셨습니다.

On that day, the Jewish religious leaders had already decided to kill Jesus. Not everyone welcomed him. Some people glared at him, and the Pharisees urged Jesus to rebuke his disciples. The disciples’ actions were controversial, both religiously and politically. What we must focus on, however, is Jesus’ response to the Pharisees’ demand. In Luke 19:40, Jesus gives a striking response, saying, “If they keep quiet, the stones will cry out.” Did Jesus react emotionally because he enjoyed the disciples’ praise, and the Pharisees ruined the moment by throwing cold water on it? No. Jesus responded this way because he knew that without this faith, the coming suffering of the cross could not be endured.

우리가 고난 속에 있을 때도 하나님께서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믿음을 가져야 합니다. 하나님은 우리의 고통을 혼자 감당하게 하지 않으시고, 공동체 안에서 그 고통을 나누도록 도우십니다. 시편 118편에서처럼, 구원의 문이 열리기를 간구하며 하나님께 감사드려야 합니다.

When we face suffering, we, too, must believe that God is with us. God does not leave us to bear our pain alone but allows us to share it within a community. Before God, we can share our suffering, which helps us put it in perspective. In doing so, we gain the courage to live beyond our pain.

첫째, 시편 118편에서 우리는 구원의 문이 열리기를 간구하는 모습을 봅니다. 이 문은 하나님의 구원을 경험하고 감사하는 문입니다. 예수님께서 예루살렘에 들어가실 때, 그 문으로 들어가셨습니다. 우리도 구원의 문을 두드리며 예수님을 통해 구원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내게 의의 문들을 열지어다 내가 그리로 들어가서 여호와께 감사하리로다”(시편 118:19). 이 문은 의인들이 들어가는 문이며, 우리는 그 문을 통해 하나님께 감사드리는 자가 되어야 합니다.

In Psalm 118, we see a plea for the gates of salvation to be opened. These gates are the entrance to experiencing God’s salvation and offering thanks to him. When Jesus entered Jerusalem, he entered through those gates. The people waved palm branches, asking Jesus to save them. We, too, can knock on the gates of salvation and experience it through Jesus. The pilgrims sang, “Open the gates of righteousness; I will enter and give thanks to the Lord.” These gates are for those who live according to God’s will. God chooses the lowly and despised to transform the world. We encounter God during our pain and weakness.

둘째, 예수님은 겸손한 왕이십니다.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것은 예수님이 평화의 왕임을 나타냅니다. 그분은 힘과 권력으로 다스리시는 왕이 아니라 사랑과 겸손으로 다스리십니다. 우리는 예수님을 본받아 겸손하게 살아가야 합니다. 하나님은 겸손한 자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이루십니다. 빌립보서 2장 5~8절에서는 예수님의 겸손한 모습을 강조합니다. 우리는 이 겸손한 마음을 본받아야 합니다.

Jesus is a humble king. His entry into Jerusalem on a donkey shows that He is the king of peace. He does not rule by power or force but by love and humility. We must follow Jesus’ example and live humbly. God establishes his kingdom through the humble. The key indicator of whether we truly believe in the Lord is humility. Philippians 2:5-8 teaches us that Jesus humbled himself even to death on the cross. Are we humble? Have we ever thought, “How dare they treat me like this?” If we think in this way, we show pride.

셋째, 시편 118편에서 “건축자가 버린 돌이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다”라고 말합니다. 예수님은 사람들이 무시했지만, 결국 구원의 핵심이 되신 분입니다. “건축자가 버린 돌이 집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나니”(시편 118:22). 우리는 예수님을 통해 하나님의 집에 들어갈 수 있으며, 그분을 통해 새로운 생명을 얻습니다. 하나님께서 하시는 일은 우리의 이해를 넘어서는 놀라운 일들입니다.

Psalm 118:22 says, “The stone the builders rejected has become the cornerstone.” Jesus, though rejected by men, became the cornerstone of salvation. Through him, we are welcomed into the house of God. Even though God’s work may seem astonishing to us, it is completed according to his will.

예수님은 유월절에, 십자가에 달리셨습니다. 유월절의 의미는 노예 생활에서 자유로, 슬픔에서 기쁨으로의 전환입니다. 예수님의 십자가는 우리를 구속하여 새 생명으로 인도하시는 사건입니다. 시편 기자는 “내가 죽지 않고 살아서, 주께서 하신 일을 선포하리로다”(시편 118:17)라고 고백합니다. 우리도 이 고백을 하고 하나님의 사랑을 전하며 살아야 합니다.

Jesus was crucified during Passover. The essence of Passover is moving from slavery to freedom, from sorrow to joy. Jesus’ cross redeems us and leads us to new life. Through suffering, we reach joy, and beyond death, we gain eternal life. The psalmist declares, “I will not die but live, and will proclaim what the Lord has done” (verse 17). We must carry this confession into the world, living lives that proclaim God’s love.

고난주간이 시작됩니다. 우리는 주님의 고난을 묵상하며 우리의 삶을 되돌아봐야 합니다. 하나님 앞에 나아가, 주님의 고난에 동참하고 구원의 문을 열어주시는 주님을 만나기를 소망합니다. 겸손함으로 평화의 왕이신 주님을 영접하시길 바랍니다.

As Passion Week begins, let us reflect on the Lord’s suffering and examine our lives. May we draw near to God, participate in the Lord’s suffering, and meet the one who opens the gates of salvation. May we humbly welcome the king of peace into our hearts.

Contact Us for Help

View staff by program area to ask for additional assistance.

Related


Subscribe

* indicates required

Please confirm that you want to receive email from us.

You can unsubscribe at any time by clicking the link in the footer of our emails. For information about our privacy practices, please read our Privacy Policy page.

We use Mailchimp as our marketing platform. By clicking below to subscribe, you acknowledge that your information will be transferred to Mailchimp for processing. Learn more about Mailchimp's privacy practices here.